검색결과 리스트
Computer에 해당되는 글 79건
- 2007.04.17 Linux Shell programming 관련
- 2007.03.31 Microsoft Word 단축키 1
- 2007.03.31 mplayer관련 메모
- 2007.03.22 VLC Compile 과 gprof Result. 2
- 2007.03.19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 2007.03.15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 2007.03.14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2007.03.07 Computer System Design Principles 1
- 2007.03.07 ftp mget 사용법
- 2007.03.06 Linux Network Emulator
글
Linux Shell programming 관련
Shell programming 관련 참고.
학부때 shell programming으로 이것저것 많이 했었는데 -_-
심지어 shell을 만들기도 했었건만.....!! 뷁.
이런거나 보고 있다니...
암튼 안하는건 까먹고 녹슬기 마련이다 흑 ㅠ
그외 당근 최고 사이트 링크... 역시 kldp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Bash-Prog-Intro-HOWTO
http://kldp.org/HOWTO/html/Adv-Bash-Scr-HOWTO/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Shell_Programming-TRANS
http://wiki.kldp.org/wiki.php/ShellProgrammingTutorial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Player v1.0rc1 source compile trouble shooting (1) | 2007.07.10 |
|---|---|
| "ld: cannot find -lX11" error가 날때. (2) | 2007.07.09 |
| mplayer관련 메모 (0) | 2007.03.31 |
| VLC Compile 과 gprof Result. (2) | 2007.03.22 |
|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0) | 2007.03.19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Microsoft Word 단축키
네이년 지식즐 펌.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dir_id=1&eid=JVXns1t3Dq46SM7Q5OPKVYGXGTP5AWx3&qb=d29yZCC788ijwvzBtg==
난 워드를 참 싫어한다. 마우스에 손이 너무 많이 가기 때문에...
한글은 단축키만으로 완벽하게 작업이 가능한데.
미국 돼지들은 그런게 잘 안되나.
문서 작업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새 문서 작성 Ctrl+N키
문서 열기 Ctrl+O키
문서 닫기 Ctrl+W키
문서 분할 Alt+Ctrl+S키
문서 저장 Ctrl+S키
Word 종료 Alt+F4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문자열, 서식, 특수 항목 찾기 Ctrl+F키
찾기 반복 Alt+Ctrl+Y키
문자열, 특정 서식, 특수 항목 바꾸기 Ctrl+H키
쪽, 책갈피, 각주, 표, 메모, 그래픽, 기타 위치로 이동 Ctrl+G키
이전 쪽, 책갈피, 각주, 표, 메모, 그래픽, 기타 위치로 이동 Alt+Ctrl+Z키
문서 찾기 Alt+Ctrl+Home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작업 취소 Esc키
작업 실행 취소 Ctrl+Z키
작업 재실행 또는 반복 Ctrl+Y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쪽 모양 보기로 전환 Alt+Ctrl+P키
개요 보기로 전환 Alt+Ctrl+O키
기본 보기로 전환 Alt+Ctrl+N키
주 문서와 하위 문서 간의 이동 Ctrl+\키
문자와 단락 서식 키
문자 서식 설정
원하는 작업 해당 키
글꼴 바꾸기 Ctrl+Shift+F키
글꼴 크기 바꾸기 Ctrl+Shift+P키
글꼴 크기 늘임 Ctrl+Shift+>키
글꼴 크기 줄임 Ctrl+Shift+<키
글꼴 크기 1포인트 늘임 Ctrl+]키
글꼴 크기 1포인트 줄임 Ctrl+[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문자 서식 바꾸기([서식] 메뉴의 [글꼴] 명령) Ctrl+D키
대/소문자 바꾸기 Shift+F3키
모두 대문자로 설정 Ctrl+Shift+A키
굵게 설정 Ctrl+B키
밑줄 설정 Ctrl+U키
단어만(공백 제외) 밑줄 설정 Ctrl+Shift+W키
문자열에 이중 밑줄 설정 Ctrl+Shift+D키
문자열 숨김 서식 설정 Ctrl+Shift+H키
기울임꼴 설정 Ctrl+I키
작은 대문자로 설정 Ctrl+Shift+K키
아래 첨자 설정(자동 간격) Ctrl+=키
위 첨자 설정(자동 간격) Ctrl+Shift++키
수동으로 설정된 글자 서식 삭제 Ctrl+스페이스키
선택 범위를 기호 글꼴로 바꾸기 Ctrl+Shift+Q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출력되지 않는 글자 표시 Ctrl+Shift+*키
문자 서식 검토 Shift+F1키(서식을 검토할 문자열 선택)
서식 복사 Ctrl+Shift+C키
서식 붙여넣기 Ctrl+Shift+V키
단락 서식 설정
줄 간격 설정 해당 키
1줄 간격 Ctrl+1키
2줄 간격 Ctrl+2키
1.5줄 간격 Ctrl+5키
단락 앞에 1줄 간격 추가/삭제 Ctrl+0키
단락 맞춤과 밀어 맞춤 설정
해당 키
가운데 맞춤 Ctrl+E키
양쪽 맞춤 Ctrl+J키
왼쪽 맞춤 Ctrl+L키
오른쪽 맞춤 Ctrl+R키
왼쪽에서 단락 밀어 맞춤 Ctrl+M키
왼쪽에서 단락 밀어 맞춤 해제 Ctrl+Shift+M키
첫 줄 밀어 맞춤 지정 Ctrl+T키
첫 줄 밀어 맞춤 해제 Ctrl+Shift+T키
단락 서식 삭제 Ctrl+Q키
유형 적용 해당 키
유형 적용 Ctrl+Shift+S키
[자동 서식] 시작 Alt+Ctrl+K키
표준 유형 적용 Ctrl+Shift+N키
제목 1 유형 적용 Alt+Ctrl+1키
제목 2 유형 적용 Alt+Ctrl+2키
제목 3 유형 적용 Alt+Ctrl+3키
목록 유형 적용 Ctrl+Shift+L키
문서 검토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메모 삽입 Alt+Ctrl+M키
변경 내용 표시 설정/해제 Ctrl+Shift+E키
메모 시작 위치로 이동 Ctrl+Home키
메모 끝 부분으로 이동 Ctrl+End키
편지 병합 키
[편지 병합] 명령 사용 도중 수행할 작업 해당 키
편지 병합 미리 보기 Alt+Shift+K키
문서 병합 Alt+Shift+N키
병합된 문서 인쇄 Alt+Shift+M키
편지 병합 데이터 문서 편집 Alt+Shift+E키
병합 필드 삽입 Alt+Shift+F키
문서 인쇄와 미리 보기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문서 인쇄 Ctrl+P키
미리 보기로 전환 Alt+Ctrl+I키
미리 보기에서 확대 시 본문 안에서의 이동 화살표키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한 쪽씩 이동 Page Up키나 Page Down키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첫 쪽으로 이동 Ctrl+Home키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마지막 쪽으로 이동 Ctrl+End키
메뉴 작업 키
원하는 작업 사용 키
바로 가는 메뉴 표시 Shift+F10키
메뉴 표시줄 활성화 F10키
프로그램 아이콘 메뉴를 프로그램 제목 표시줄에 표시 Alt+스페이스키
메뉴나 하위 메뉴의 다음 명령이나 이전 명령 선택 메뉴나 하위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아래쪽 화살표키나 위쪽 화살표키
왼쪽이나 오른쪽 메뉴를 선택하거나, 하위 메뉴를 나타낸 상태에서 기본 메뉴와 하위 메뉴 간의 전환 왼쪽 화살표키나 오른쪽 화살표키
메뉴나 하위 메뉴의 첫째 명령이나 마지막 명령 선택 Home키나 End키
화면에 표시된 메뉴와 하위 메뉴 동시에 닫기 Alt키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닫거나, 하위 메뉴가 나타난 상태에서 하위 메뉴만 닫기 Esc키
참고 메뉴 표시줄이나 도구 모음의 모든 메뉴 명령을 키보드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Alt키를 눌러 메뉴 표시줄을 선택합니다. 도구 모음을 선택하려면 원하는 도구 모음이 선택될 때까지 Ctrl+Tab키를 반복하여 누릅니다. 원하는 명령이 있는 메뉴 옆의 괄호속 문자를 누르고, 메뉴가 나타나면 원하는 명령 옆의 괄호속 문자를 누릅니다.
문서 인쇄와 미리 보기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문서 인쇄 Ctrl+P키
미리 보기로 전환 Alt+Ctrl+I키
미리 보기에서 확대 시 본문 안에서의 이동 화살표키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한 쪽씩 이동 Page Up키나 Page Down키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첫 쪽으로 이동 Ctrl+Home키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마지막 쪽으로 이동 Ctrl+End키
필드 작업 키
삽입할 필드 해당 키
DATE 필드 Alt+Shift+D키
LISTNUM 필드 Alt+Ctrl+L키
PAGE 필드 Alt+Shift+P키
TIME 필드 Alt+Shift+T키
빈 필드 Ctrl+F9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Word 원본에서 연결 정보 새로 고침 Ctrl+Shift+F7키
선택된 필드 새로 고침 F9키
필드 연결 해제 Ctrl+Shift+F9키
단일 필드 코드와 결과 간의 전환 Shift+F9키
모든 필드 코드와 결과 간의 전환 Alt+F9키
필드 결과를 나타낸 필드에서 GOTOBUTTON이나 MACROBUTTON 실행 Alt+Shift+F9키
다음 필드로 이동 F11키
이전 필드로 이동 Shift+F11키
필드 보호 Ctrl+F11키
필드 보호 해제 Ctrl+Shift+F11키
개요 작업 키
개요 보기에서 작업 해당 키
단락 수준 올리기 Alt+Shift+왼쪽 화살표키
단락 수준 내리기 Alt+Shift+오른쪽 화살표키
본문으로 내리기 Ctrl+Shift+N키
선택된 단락을 위로 이동 Alt+Shift+위쪽 화살표키
선택된 단락을 아래로 이동 Alt+Shift+아래쪽 화살표키
제목 아래의 문자열 확장 Alt+Shift++키
제목 아래의 문자열 축소 Alt+Shift+-키
모든 문자열이나 제목 확장/축소 숫자 키패드의 Alt+Shift+A키 또는 *
글꼴 서식 표시/숨기기 숫자 키패드의 슬래시(/)
본문의 첫 행이나 본문 모두 표시 Alt+Shift+L키
제목 1 유형으로 설정된 모든 제목 표시 Alt+Shift+1키
제목 n 유형까지 설정된 모든 제목 표시 Alt+Shift+n키
도구 모음 작업 키
도구 모음에서 작업 사용 키
메뉴 표시줄 활성화 F10키
다음 도구 모음이나 이전 도구 모음 선택 Ctrl+Tab키나 Ctrl+Shift+Tab키
도구 모음에서 이전 또는 다음 단추나 메뉴 선택 도구 모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Tab키나 Shift+Tab키
메뉴 열기 도구 모음의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Enter키
단추 실행 단추가 선택된 상태에서 Enter키
입력란에 문자열 입력 입력란이 선택된 상태에서 Enter키
늘어진 목록이나 메뉴에서 옵션 선택 늘어진 목록이 선택되어 있을 때, 화살표 키로 목록이나 메뉴에 있는 옵션 이동 및 Enter키를 눌러 원하는 옵션 선택
창과 대화 상자 작업 키
창에서 작업 사용 키
다음 프로그램으로 전환 Alt+Tab키
이전 프로그램으로 전환 Alt+Shift+Tab키
Windows [시작] 메뉴 표시 Ctrl+Esc키
작업 중인 문서 창 닫기 Ctrl+W키
작업 중인 문서 창 복원 Ctrl+F5키
다음 문서 창으로 전환 Ctrl+F6키
이전 문서 창으로 전환 Ctrl+SHIFT+F6키
문서 아이콘 메뉴와 메뉴 표시줄에 있는 [이동] 명령 실행 Ctrl+F7키
문서 아이콘 메뉴와 메뉴 표시줄에 있는 [크기] 명령 실행 Ctrl+F8키
문서 창을 아이콘으로 표시 CTRL+F9
문서 창의 전체 화면 표시 Ctrl+F10키
[파일] 메뉴의 [열기]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 대화 상자에서 폴더 선택 Alt+0키를 눌러 폴더 목록 선택 후, 화살표 키로 폴더 선택
[파일] 메뉴의 [열기]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 대화 상자에서 도구 모음 단추 선택 Alt+숫자(1은 왼쪽 끝 단추, 2는 그 다음 단추 등의 형식)
[파일] 메뉴의 [열기]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 대화 상자에 표시된 파일 새로 고치기 F5키
대화 상자에서 작업 사용 키
대화 상자에서 다음 탭으로 전환 Ctrl+Tab키나 Ctrl+Page Down키
대화 상자에서 이전 탭으로 전환 Ctrl+Shift+Tab키나 Ctrl+Page Up키
다음 옵션이나 옵션 그룹으로 이동 Tab키
이전 옵션이나 옵션 그룹으로 이동 Shift+Tab키
선택한 늘어진 목록의 옵션 간이나 옵션 그룹 내의 옵션 간에 이동 화살표키
단추 실행 및 확인란 선택 또는 취소 스페이스키
늘어진 목록 상자의 원하는 옵션으로 이동 늘어진 목록이 선택된 상태에서 원하는 옵션의 바로 가는 키
옵션 선택 또는 취소 Alt+바로 가는 키
늘어진 목록 상자 열기 늘어진 목록이 선택된 상태에서 Alt+아래쪽 화살표키
늘어진 목록 상자 닫기 늘어진 목록이 선택된 상태에서 Esc키
대화 상자에 기본적으로 지정된 작업 실행 Enter키
명령을 취소하고 대화 상자 닫기 Esc키
입력란에서 작업 사용 키
항목 시작 위치로 이동 Home키
항목 끝으로 이동 End키
한 글자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 왼쪽 화살표키나 오른쪽 화살표키
한 단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 Ctrl+왼쪽 화살표키나 Ctrl+오른쪽 화살표키
삽입 포인트 위치에서 항목 시작 위치까지 선택 Shift+Home키
삽입 포인트 위치에서 항목 끝까지 선택 Shift+End키
왼쪽에 있는 한 글자 선택 또는 선택 취소 Shift+왼쪽 화살표키
오른쪽에 있는 한 글자 선택 또는 선택 취소 Shift+오른쪽 화살표키
왼쪽에 있는 한 단어 선택 또는 선택 취소 Ctrl+Shift+왼쪽 화살표키
오른쪽에 있는 한 단어 선택 또는 선택 취소 Ctrl+Shift+오른쪽 화살표키
Web 페이지 작업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하이퍼링크 삽입 Ctrl+K키
이전 쪽으로 이동 Alt+왼쪽 화살표키
다음 쪽으로 이동 Alt+오른쪽 화살표키
화면 새로 고침 F9키
상호 참조, 각주, 미주 작업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목차 항목 표시 Alt+Shift+O키
색인 항목 표시 Alt+Shift+X키
각주 삽입 Alt+Ctrl+F키
미주 삽입 Alt+Ctrl+E키
Office 길잡이 작업 키
원하는 작업 해당 키
Office 길잡이 풍선 활성화 Alt+F6키
Office 길잡이에서 표시하는 항목의 도움말 항목 선택 Alt+숫자키(1은 첫째 항목, 2는 둘째 항목)
보다 많은 도움말 항목 표시 Alt+아래쪽 화살표키
이전 도움말 항목 표시 Alt+위쪽 화살표키
Office 길잡이 메시지 닫기 Esc키
Office 길잡이에서 도움말 보기 F1키
다음 팁 표시 Alt+N키
이전 팁 표시 Alt+B키
팁 닫기 Esc키
마법사에서 Office 길잡이 표시/숨기기 Tab키를 눌러 [Office 길잡이] 단추를 누르고 스페이스키를 눌러 길잡이를 나타내거나, 마법사 포함 설정을 해제하여 숨깁니다.
문자열과 그래픽 편집 및 이동 키
문자열과 그래픽 삭제
원하는 작업 해당 키
왼쪽으로 한 글자 삭제 백스페이스키
왼쪽으로 한 단어 삭제 Ctrl+백스페이스키
오른쪽으로 한 글자 삭제 Delete키
오른쪽으로 한 단어 삭제 Ctrl+Delete키
선택한 문자열을 클립보드에 잘라내기 Ctrl+X키
마지막 작업 실행 취소 Ctrl+Z키
스파이크에 잘라내기 Ctrl+F3키
문자열과 그래픽 복사 및 이동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문자열이나 그래픽 복사 Ctrl+C키
문자열이나 그래픽 이동 F2키를 누르고, 삽입 포인트를 이동한 다음, Enter키 누르기
상용구 만들기 Alt+F3키
클립보드 내용 붙여넣기 Ctrl+V키
스파이크 내용 붙여넣기 Ctrl+Shift+F3키
특수 문자 삽입
삽입할 내용 해당 키
필드 Ctrl+F9키
상용구 Enter키(상용구 이름의 처음 몇 글자를 입력한 다음, 스크린 팁이 나타날 때)
줄 구분 Shift+Enter키
쪽 구분 Ctrl+Enter키
열 구분 Ctrl+Shift+Enter키
사용자 지정 하이픈 Ctrl+-키
줄바꿈하지 않는 하이픈 Ctrl+Shift+-키
줄바꿈하지 않는 공백 Ctrl+Shift+스페이스키
저작권 기호 Alt+Ctrl+C키
등록 상표 기호 Alt+Ctrl+R키
상표 기호 Alt+Ctrl+T키
생략 기호 Alt+Ctrl+.키
문자열과 그래픽 선택
Shift키를 누른 채 삽입 포인트를 이동하는 키를 눌러 문자열을 선택합니다.
선택 범위 확장 해당 키
한 글자 오른쪽으로 Shift+오른쪽 화살표키
한 글자 왼쪽으로 Shift+왼쪽 화살표키
단어 끝으로 Ctrl+Shift+오른쪽 화살표키
단어 시작 위치로 Ctrl+Shift+왼쪽 화살표키
행 끝으로 Shift+End키
행 시작 위치로 Shift+Home키
한 줄 아래로 Shift+아래쪽 화살표키
한 줄 위로 Shift+위쪽 화살표키
단락 끝으로 Ctrl+Shift+아래쪽 화살표키
단락 시작 위치로 Ctrl+Shift+위쪽 화살표키
한 화면 아래로 Shift+Page Down키
한 화면 위로 Shift+Page Up키
창 끝으로 Alt+Ctrl+Page Down키
문서 시작 위치로 Ctrl+Shift+Home키
문서 전체 Ctrl+A키
수직 블록의 문자열 Ctrl+Shift+F8키와 화살표키를 사용합니다. Esc키를 누르면 선택 모드가 취소됩니다.
문서 내의 특정 위치로 F8+화살표키를 사용합니다. Esc키를 누르면 선택 모드가 취소됩니다.
참고 삽입 포인트를 이동하는 키의 조합을 알면, Shift키를 누른 채 같은 키 조합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삽입 포인터를 다음 단어로 이동하려면 Ctrl+오른쪽 화살표키를 누르고, 삽입 포인트 위치에서 다음 단어의 시작 위치까지 문자열을 선택하려면 Ctrl+Shift+오른쪽 화살표키를 누릅니다.
표 안에서 문자열과 그래픽 선택
원하는 작업 해당 키
다음 셀 내용 선택 Tab키
이전 셀 내용 선택 Shift+Tab키
인접한 셀로 선택 범위 확장 Shift를 누른 채 화살표키를 반복해서 누릅니다.
열 선택 선택하려는 열의 맨 위나 맨 아래 셀을 누릅니다. Shift키를 누른 채 위쪽 화살표나 아래쪽 화살표키를 반복해서 누릅니다.
선택 범위(또는 블록) 확장 Ctrl+Shift+F8키을 누르고 화살표키를 사용합니다. Esc키를 눌러 선택 모드를 취소합니다.
선택 범위 크기 줄임 Shift+F8키
표 전체 선택 Num Lock 설정을 해제하고, 숫자 키패드에서 Alt+5키를 누릅니다.
선택 범위 확장
원하는 작업 해당 키
확장 모드 설정 F8키
가장 가까운 글자 선택 F8키를 누르고 왼쪽 화살표키나 오른쪽 화살표키를 누릅니다.
선택 범위 크기 확장 F8키(한 번 누르면 단어가 선택되고, 두 번 누르면 문장이 선택됩니다.)
선택 범위 크기 축소 Shift+F8키
확장 모드 해제 Esc키
삽입 포인트 이동
이동 대상 해당 키
한 글자 왼쪽으로 왼쪽 화살표키
한 글자 오른쪽으로 오른쪽 화살표키
한 단어 왼쪽으로 Ctrl+왼쪽 화살표키
한 단어 오른쪽으로 Ctrl+오른쪽 화살표키
한 단락 위로 Ctrl+위쪽 화살표키
한 단락 아래로 Ctrl+아래쪽 화살표키
한 셀 왼쪽으로(표에서) Shift+Tab키
한 셀 오른쪽으로(표에서) Tab키
한 줄 위로 위쪽 화살표키
한 줄 아래로 아래쪽 화살표키
줄 끝으로 End키
줄 처음으로 Home키
창의 맨 위로 Alt+Ctrl+Page Up키
창의 맨 아래로 Alt+Ctrl+Page Down키
한 화면 위로(이동) Page Up키
한 화면 아래로(이동) Page Down키
다음 쪽 맨 위로 Ctrl+Page Down키
이전 쪽 맨 위로 Ctrl+Page Up키
문서의 끝으로 Ctrl+End키
문서의 시작 부분으로 Ctrl+Home키
이전 변경 사항으로 Shift+F5키
문서를 마지막으로 닫았을 때의 삽입 포인트 위치로 Shift+F5키
표 안에서 이동
이동 대상 해당 키
행의 다음 셀 Tab키
행의 이전 셀 Shift+Tab키
행의 첫 셀 Alt+Home키
행의 마지막 셀 Alt+End키
열의 첫 셀 Alt+Page Up키
열의 마지막 셀 Alt+Page Down키
이전 행 위쪽 화살표키
다음 행 아래쪽 화살표키
표에 단락과 탭 문자 삽입
삽입할 내용 해당 키
셀 안에 새 단락 Enter키
셀 안에 탭 문자 Ctrl+Tab키
'Computer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indows batch programming (0) | 2007.07.16 |
|---|---|
| WCDMA 인터넷 하기 (2) | 2007.04.19 |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0) | 2007.03.14 |
| 원격 데스크탑에서 MATLAB 사용하기 (3) | 2007.02.27 |
| + 익스플로러 새창이 안뜰때의 대처법 (2) | 2005.10.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mplayer관련 메모
http://www.libsdl.org/extras/win32/cygwin/README.txt
http://www.mplayerhq.hu/DOCS/HTML/en/windows.html#cygwin
http://www.libsdl.org/download-1.2.php
http://www.lyseo.edu.ouka.fi/~pexu/pub/mplayer_windows_howto/
- cygwin용 mp && patches
http://armory.nicewarrior.org/projects/cygmp/
- ffmpeg
http://ffmpeg.mplayerhq.hu/download.html
- mplayer를 windows에서 컴파일하기
http://cafe.naver.com/opendori.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887
http://www.kipple.pe.kr/doc/mplayer/
http://www.lyseo.edu.ouka.fi/~pexu/pub/mplayer_windows_howto/
- dx7headers.tgz
http://www.mplayerhq.hu/MPlayer/releases/win32/contrib/
- include/dsound.h
http://celticdruid.no-ip.com/phpBB2/viewtopic.php?t=9&start=15&sid=bd60a74971ddc02b0ec73b1209501d87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d: cannot find -lX11" error가 날때. (2) | 2007.07.09 |
|---|---|
| Linux Shell programming 관련 (0) | 2007.04.17 |
| VLC Compile 과 gprof Result. (2) | 2007.03.22 |
|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0) | 2007.03.19 |
|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0) | 2007.03.1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VLC Compile 과 gprof Result.
일단...컴파일은 아래 내용 참조함.
http://blog.naver.com/kingseft.do?Redirect=Log&logNo=140035026543
* 삽질 Report
1. make 도중 dshow.cpp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에러가 죽 떴었다.
그런데 퍼뜩 생각난 것이 이전에 ACE Library를 설치하느라 CLUS_INCLUDE_PATH를 강제 지정했었던 것.
재빨리 .bash_profile 을 열어보았더니 아니나 다를까 지정되어 있엇다.
export ACE_ROOT="/ACE_wrappers"
#export LD_LIBRARY_PATH="$ACE_ROOT/lib:$LD_LIBRARY_PATH"
export PATH=$PATH:/usr/local/lib:./
#export CPLUS_INCLUDE_PATH=/usr/include:/usr/local/include:$CPLUS_INCLUDE_PATH
낼름 #을 이용하여 주석처리 해버리고 make를 돌리니 돌아갔다. 이런 어이없는 것 때문에 시간을 그렇게 많이 쓰다니 ㅠ
참고로 어디에도 없는 내용이었다. 나쁜 VLC 놈들 ㅠ
2. make 잘 하고, 위의 내용중에 있는 cygwin에서 window용으로 만들기 위하여
make vlc-win32-base 인가.. 아무튼 이런거 했다.
잘 되었는데, 생성된 vlc.exe 녀석이 어이없게도 실행하려 했더니
access denied 랜다. 얼어죽을!
열받아서 chmod 777 해버리고 다시 했으나 여전히 access denied.
내가 root인데 무슨 권한이 없단 말이냣!!! -_-
이걸 놓고 또 한참 삽질했다.
별다르게 손댄건 없는데 -_- 다음날 와서 다시 끼적끼적 해보니 또 실행이 되어비리신다.
이 놀라운 녀석들.
3. codec이랑 frame의 정보를 손을 대서 좀 만들어야 할짓이 있어서 방대한 소스에 대한 profiling이 필수적으로 필요했다.
PKG_CONFIG_PATH=/usr/win32/lib/pkgconfig \
CPPFLAGS="-I/usr/win32/include/freetype2 -I/usr/win32/include -I/usr/win32/include/ebml" \
LDFLAGS=-L/usr/win32/lib \
CC="gcc -pg -mno-cygwin" CXX="g++ -pg -mno-cygwin" \
./configure \
--disable-gtk \
--enable-nls --enable-sdl --with-sdl-config-path=/usr/win32/bin \
--enable-ffmpeg --with-ffmpeg-mp3lame --with-ffmpeg-faac \
--with-ffmpeg-zlib --enable-faad --enable-flac --enable-theora \
--with-wx-config-path=/usr/win32/bin \
--with-freetype-config-path=/usr/win32/bin \
--with-fribidi-config-path=/usr/win32/bin \
--enable-livedotcom --with-livedotcom-tree=/usr/win32/live.com \
--enable-caca --with-caca-config-path=/usr/win32/bin \
--with-xml2-config-path=/usr/win32/bin \
--with-dvdnav-config-path=/usr/win32/bin \
--disable-cddax --disable-vcdx --enable-goom \
--enable-twolame --enable-dvdread \
--enable-debug --disable-mkv
위와 같이 booltstrap시에 CC와 CXX에 -pg 옵션을 추가하여 컴파일했다.
크게 문제는 없었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2의 문제가 발생. 실행이 되어야 gmon.out을 가지고 프로파일링을 하던 말던 할것 아니냐!!!
근데 2번 문제가 어이없이 해결이 되어버려, result를 얻어내긴 했다.
다른것 찾다가 알아낸 일이지만 VLC는 multi thread라서 gprof으로는 제대로된 profiling을 얻어내기 힘들댄다.
cygwin에선 젠장 어쩌라는거야..
4.
한참 뒤져보니 VLC configure를 할 때.
--disable-xxxxx 를 통해서 수많은 플러그인과 라이브러리와 component들을 disable시키고 제법 빠르고 가볍게 만들수 있는것 같다.
예를 들면 이런식으로.
5. 참고한 사이트 모음
http://www.videolan.org/vlc/download-sources.html
http://wiki.videolan.org/Subversion#Projects_on_VideoLAN.27s_SVN
http://blog.naver.com/kingseft?Redirect=Log&logNo=140010302765
http://blog.naver.com/kingseft.do?Redirect=Log&logNo=140035026543
http://blog.naver.com/kingseft.do?Redirect=Log&logNo=140010325743
http://kldp.org/node/64485
http://wiki.videolan.org/Win32Compile
아 아무튼 삽질 너무 오래했다.
이제 이놈을 또 어떻게 구워삶는담.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Shell programming 관련 (0) | 2007.04.17 |
|---|---|
| mplayer관련 메모 (0) | 2007.03.31 |
|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0) | 2007.03.19 |
|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0) | 2007.03.15 |
| ftp mget 사용법 (0) | 2007.03.0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X-manager보다는 Ultra VNC가 더 가볍고 좋은것 같다.
완벽하게 emulation이 되는게 아니지만 X-windows의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수행가능한듯.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player관련 메모 (0) | 2007.03.31 |
|---|---|
| VLC Compile 과 gprof Result. (2) | 2007.03.22 |
|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0) | 2007.03.15 |
| ftp mget 사용법 (0) | 2007.03.07 |
| Linux Network Emulator (0) | 2007.03.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Ref. : http://blog.naver.com/namong98?Redirect=Log&logNo=15611346
이 문서에 첨부한 TextOut.cpp라는 윈도우즈 API 소스 프로그램을 TextOut.exe라는 실행 파일로 빌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Cygwin 루트 디렉토리 아래의 bin 디렉토리가 윈도우즈 PATH에 들어가 있다면 굳이 Cygwin 안에서 다음 명령을 내릴 필요는 없습니다.
gcc -mwindows -mno-cygwin TextOut.cpp -o TextOut.exe
여기서 옵션을 간단히 설명하면,
-mwindows : 윈도우즈 API를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mno-cygwin : cygwin1.dll없이도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만들어진 TextOut.exe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고, 화면안을 클릭하면 문자열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합니다.
strip TextOut.exe
라고 하면 됩니다. TextOut.exe 파일은 그대로 두고 다른 TextOut1.exe 라는 파일로 strip하고 싶다면,
strip TextOut.exe -o TextOut1.exe
와 같이 하면 됩니다.
제가 이 문서에 첨부한 TextOut.cpp를 컴파일 하고, strip 시켜보니 파일 크기의 변화가 아래와 같았습니다.
strip 전,
TextOut.exe : 20841
strip 후,
TextOut1.exe : 6656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을 빌드하기 위한 옵션이 많아 입력하기 귀찮다면 윈도우즈에서는 배치 파일을 만들고 Cygwin에서는 쉘 스크립트를 만들면 편하게 작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끝~
좋은 하루 되세요~ ^^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LC Compile 과 gprof Result. (2) | 2007.03.22 |
|---|---|
|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0) | 2007.03.19 |
| ftp mget 사용법 (0) | 2007.03.07 |
| Linux Network Emulator (0) | 2007.03.06 |
| Linux 방화벽 설정하기 (IPtables) (1) | 2007.02.2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1. ARP 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라고 합니다.
ARP는 라우터 뿐만 아니라 호스트에서도 사용됩니다. 인터넷에서 모든 노드(라우터,호스트)들은 각각 인터넷주소(IP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 여기저기로 패킷이 오갈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노드는 이 인터넷 주소 말고, 지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Link Layer Address(L2)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이것은 Physical adddess, MAC주소, Ethernet 주소와 동일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패킷전달은 이 L2주소로 지역내에서 전달됩니다.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와 호스트, 호스트와 라우터 간에는 L2주소를 가지고 패킷이 전달됩니다.
그럼..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패킷을 전송하는 절차의 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0. 호스트 A에서 호스트 B로 IP 패킷을 보내려 합니다.
1. 현재 호스트A는 호스트B의 IP주소는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L2주소(이더넷주소)는 모르고 있습니다.
2. 호스트 A는 호스트B의 L2주소를 알기 위해서 ARP Request 패킷을 뿌립니다. 뿌려진 ARP Request는 같은 네트워크 내의 모든 노드에게 전달됩니다.
3. 호스트 C는 ARP Request 를 받았지만, 자기 IP주소를 이야기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냥 무시합니다.
4. 호스트 B는 ARP Request를 받아보니, "호스트A라는 놈이 자기(호스트B)의 IP주소를 가지고 L2주소(MAC주소,Ethernet주소)를 알고 싶어하는 구나"라는 것을 인지하고, 호스트A에게 자기의 L2 주소를 ARP Response를 주어 응답해줍니다.
5. 호스트 A는 호스트 B로부터 온 ARP Response 를 받고, "오호, 호스트B의 L2주소가 xx:xx:xx:xx:xx:xx 로구나"하고 알게 됩니다.
6. 이제 호스트 A는 호스트 B로 L2주소를 써서 직접 IP패킷을 전송합니다.
7. 몇 초뒤 호스트 A는 호스트 B에게 IP패킷을 보내려 합니다. 호스트 A에게는 ARP캐쉬가 있어서 최근에 사용한 ARP Table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의 1~5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호스트 B의 L2주소를 이용하여 IP패킷을 직접 전송합니다.
8. 호스트 A의 ARP Cache (ARP Table)은 한참 사용하지 않으면 없어집니다.
일반적으로 TCP/IP패킷은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MAC 헤더] + [IP 헤더] + [TCP헤더] + [TCP 데이터그램]
PC에서 arp -a 명령을 내리면 ARP cache가 출력되는 것입니다. Dynamic 이라고 한 것은 자동으로 ARP패킷을 전송해서 얻은 것으로, 한참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없어집니다. arp -s 명령을 써서 강제로 해당 IP의 L2주소를 세팅할 수 있는데 이때는 static 으로 표시되고, 직접 지우기 전에는 안 없어집니다. arp -d 를 하면 ARP cache를 모두 지울수 있습니다.
2. 이더넷 랜카드를 장착한 어떤 장비도 ARP테이블 사용합니다.
사용하는 목적은 속도때문입니다. 일종의 캐쉬정보죠
모든 로칼에서의 통신은 아이피가 아닌 mac주소를 참조해서 이루어집니다.
아이피는 단지 mac을 알기위한 도구일 뿐이죠.
한번 알아낸 mac은 arp테이블에 아이피 매핑되서 저장되며, 다음 통신에는 arp lookup을 하지 않고
바로 arp테이블을 참조하여 통신을 하게 됩니다.
당연히 aging time이 있어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겠죠.
그리고 로칼네트웍이 아닌 원격지(예:인터넷)와 통신을 할 경우에는
컴퓨터는 항상 게이트웨이 장비(예:라우터)로 해당 패킷을 보내게 됩니다.
ADSL이나 케이블도 ISP에 게이트웨이 장비가 존재하겠죠.
따라서 컴퓨터는 게이트웨이의 MAC주소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컴퓨터에서 arp -a 를 쳤을 때 나오는 MAC주소는 ISP의 게이트웨이 장비 주소이며,
다이나믹으로 뜨는 건 arp lookup을 통해서 자동으로 배워왔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경우는 거의 없지만, static으로도 줄 수 있는데, 이러면 static으로 표시가 됩니다.
참고로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해당 인터페이스로 패킷을 내보내고,
스위치는 맥어드레스 테이블(arp테이블과 다름)을 보고 해당 포트로 프레임을 내보냅니다.
라우터나 스위치에 있는 arp 테이블은 컴퓨터에 있는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면서...
Ref. http://kud1981.egloos.com/3100261
'Computer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WCDMA 인터넷 하기 (2) | 2007.04.19 |
|---|---|
| Microsoft Word 단축키 (1) | 2007.03.31 |
| 원격 데스크탑에서 MATLAB 사용하기 (3) | 2007.02.27 |
| + 익스플로러 새창이 안뜰때의 대처법 (2) | 2005.10.10 |
| 윈도우 XP 팁들. (1) | 2005.07.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Computer System Design Principles
Robustness principle
- Be tolerant of inputs, strict on outputs.
End-to-end argument
- The application knows best.
Open design principle
- Let the world comment on the design; you need all the help you can get.
Incommensurate scaling rule
- Changing any parameter by a factor of ten usually requires a new design.
Design for iteration
- Becuase you won't get it right the first time.
Keep digging principle
- When something goes wrong, look beyond the first cause. There are nearly always several reasons.
Principle of diminishing returns
- To increase utilization requires effort that is out of proportion.
Reuse principle
In reusing a good idea, it is better to specialize than to generalize.
Adopt sweeping simplifications
- So you can see what you are doing.
Stay back from the edge of the cliff
- Safety margins help cope with uncertainties.
Beware of excessive generality
- If it is good for everything it is good for nothing. (Hammer's law).
Retrieved From [Topics in the engineering of computer systems]
'Computer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이디어를 개념화하는 방법? (2) | 2006.07.10 |
|---|---|
| CS... 어떻게 공부하는가? (1) | 2006.04.28 |
|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박사학위를 받을 때까지 최단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2) | 2006.01.05 |
| Impact Factor의 정의와 특징 (2) | 2005.09.1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ftp mget 사용법
이럴땐 prompt를 치면 interactive mode off상태로 변하면서
'y'를 치지 않고도 한번에 파일을 받을수있다.
*파일 보내기(mput), 가져오기(mget)
mget * : 디렉토리를 제외한 나머지파일을 모두 가져온다.
mget -R BACKUP : BACKUP이란 폴더 안에 존재하는 모든내용을 가져온다.
mget -R * : 역시 하위폴더까지 모두 가져온다.
mget *.html : 하위의 모든.html을 가지고 올경우
get -R *.html : 하위 디렉토리 하위의 것까지 가지고 올경우
- mget(multiple get) , mput(multiple put)
#> mget * -> 여러파일 받을때
#> by or bye or quit ->나갈때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원격에서 X-manager로 X-window 사용하기 (0) | 2007.03.19 |
|---|---|
|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0) | 2007.03.15 |
| Linux Network Emulator (0) | 2007.03.06 |
| Linux 방화벽 설정하기 (IPtables) (1) | 2007.02.24 |
| Cygwin에 ACE Library 설치하기 (0) | 2007.02.2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Linux Network Emulator
Netem이라는 linux kernel level packet emulator에 관한 것.
packet drop, delay, ... 등등을 간단하게 emulation 할 수 있다.
Kernel 2.6부터 사용가능
참고 사이트 : http://linux-net.osdl.org/index.php/Netem
- TC 매뉴얼
'Computer > Linux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cc로 윈도우즈 API 프로그램 만들기 (0) | 2007.03.15 |
|---|---|
| ftp mget 사용법 (0) | 2007.03.07 |
| Linux 방화벽 설정하기 (IPtables) (1) | 2007.02.24 |
| Cygwin에 ACE Library 설치하기 (0) | 2007.02.24 |
| Open Source Streaming Server Video Lan setting (3) | 2007.02.24 |
invalid-file
invalid-file
invalid-file